비선점 스케줄링
FCFS(First Come First Served) : 도착한 순서에 따라 차례로 CPU를 할당하는 기법
SJF(Shortest Job First) :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하는 기법
선점 스케줄링
RR(Round Robin) : 각 프로세스는 시간 할당량동안만 실행한 후 실행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겨주고 준비상태 큐의 가장 뒤로 배치됨
Multi-level Queue : 프로세스 운선순위에 따라 시스템 프로세스, 대화형 프로세스, 편집 프로세스, 일괄 처리 프로세스 등으로 나누어 준비상태 큐를 상위,중위,하위 단계로 배치한다.
각 준비상태 큐는 독자적인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한다.
Multi-level Feedback Queue : 특정 그룹의 준비상태 큐에 들어간 프로세스가 다른 준비상태 큐로 이동할 수 있음
각 준비상태 큐마다 시간 할당량을 부여하여 그 시간 동안 완료하지 못한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의 준비상태 큐로 이동됨.
FCFS(First Come First Served) : 도착한 순서에 따라 차례로 CPU를 할당하는 기법
SJF(Shortest Job First) :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하는 기법
선점 스케줄링
RR(Round Robin) : 각 프로세스는 시간 할당량동안만 실행한 후 실행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겨주고 준비상태 큐의 가장 뒤로 배치됨
Multi-level Queue : 프로세스 운선순위에 따라 시스템 프로세스, 대화형 프로세스, 편집 프로세스, 일괄 처리 프로세스 등으로 나누어 준비상태 큐를 상위,중위,하위 단계로 배치한다.
각 준비상태 큐는 독자적인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한다.
Multi-level Feedback Queue : 특정 그룹의 준비상태 큐에 들어간 프로세스가 다른 준비상태 큐로 이동할 수 있음
각 준비상태 큐마다 시간 할당량을 부여하여 그 시간 동안 완료하지 못한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의 준비상태 큐로 이동됨.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