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의 독립성(data independence)
일반적으로 자료의 독립성이란 어느 단계의 스키마를 바꾸었을 때, 그 위 단계의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결국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자료의 독립성은 다음과 같이 두가지로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잠깐!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atabase schema)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정의한 것을 말하는 전산학 용어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 주어진 설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만들어 내며,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자료를 저장, 조회, 삭제, 변경할 때 DBMS는 그것이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참조하여 명령을 수행한다.
출처: http://jjoreg.tistory.com/entry/알기쉽게-해설한-데이터-베이스론-2-뷰와-자료의-독립성 [다다]
일반적으로 자료의 독립성이란 어느 단계의 스키마를 바꾸었을 때, 그 위 단계의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결국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자료의 독립성은 다음과 같이 두가지로 나타나게 된다.
1) 물리적(physical) 자료 독립성
맨 아래 단계인 물리적 스키마를 바꿔도, 그 위 단계인 논리적 단계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당연히 논리적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그 위 단계인 뷰 단계의 스키마에는 물론 영향을 주지 않는다.여기서 잠깐!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atabase schema)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정의한 것을 말하는 전산학 용어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 주어진 설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만들어 내며,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자료를 저장, 조회, 삭제, 변경할 때 DBMS는 그것이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참조하여 명령을 수행한다.
2) 논리적(logical) 자료 독립성
가운데 단계인 논리적 단계의 스키마를 바꿔도 그 윗 단계인 뷰 단계의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뷰 단계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 응용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출처: http://jjoreg.tistory.com/entry/알기쉽게-해설한-데이터-베이스론-2-뷰와-자료의-독립성 [다다]
댓글
댓글 쓰기